that이 이끄는 명사절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동격절로 쓰이며 문장이 완전한 구조이다. what이 이끄는 명사절은 명사 역할을 하므로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쓰이지만 이 가운데 하나가 없는 불완전한 구조이다.
He didn’t know that he could fall in love again. (그는 자신이 다시 사랑에 빠질 줄 몰랐다.)
→ that 이하는 완전 구조이다.
I’m so proud of what he became ¢, what he stood for Ø, what he endured Ø.
(나는 그가 이룬 것과 그가 옹호한 것과 그가 참고 견뎌낸 것에 매우 자랑스럽다.)
→ became의 보어가 없고 / 전치사 for의 목적어가 없고 / 타동사 endured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 구조이다.
What $ is so impressive is your attitude about it.
(매우 감명 깊은 것은 그것에 대한 당신의 태도이다.)
→ 주어가 없는 불완전 구조이다.
둘 중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1. [That / What] he will succeed is uncertain.
2. [That / What] he worries about is the future of his country.
3. Tell your friends [that / what] you plan to do next.
1. [That / What] he will succeed is uncertain.
[해설] 동사(is) 앞의 주어가 완전한 절이므로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맞다.
[해석] 그가 성공할 것은 불확실하다.
2. [That / What] he worries about is the future of his country.
[해설] 전치사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 구조이므로 w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맞다.
[해석] 그가 걱정하는 것은 조국의 미래이다.
3. Tell your friends [that / what] you plan to do next.
[해설] tell의 직접목적어인 명사절 내에 부정사(to do)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 구조이므로 w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맞다.
[해석] 네 친구들에게 다음에 무엇을 할 것인지 말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