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학년도 한양대 인문계 A형

08 밑줄 친 단어의 뜻과 가장 가까운 것을 고르시오.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object recognition and genuine comprehension matters in the real world. The AI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s that power the social media platforms we have now, for example, can help spread fake news, by feeding us outrageous stories that garner clicks, but the AI programs can’t understand the news well enough to judge which stories are fake and which are real.

track
distribute

count
ignore

attract

정답 및 해설

[해설]

정답 ⑤

garner storehouse(창고)를 의미하는 라틴어 granarium에서 유래했다. 곡물 등을 저장하다는 기본 뜻 외에 ~을 얻다/입수하다는 의미로도 쓰인다. 보카 문제처럼 비유적 표현이 나오는 지문의 경우, garner“earn”(~을 얻다) 또는 “merit”(~할 가치가 있다)로 해석하면 된다. 지문에서는 클릭을 얻는 또는 클릭을 유도할 만한 뜻을 의미하므로 선지가운데 ⑤번이 밑줄 친 garner의 뜻과 가깝다.

[해석]

사물 인식과 진정한 이해의 차이는 현실 세계에서 중요하다. 예를 들어,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지원하는 AI(인공 지능) 프로그램은 클릭을 유도하는 터무니없는 이야기를 제공하여 가짜 뉴스를 퍼뜨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AI 프로그램은 어떤 이야기가 가짜이고 실제인지 판단할 만큼 뉴스를 잘 이해하지 못한다.

[어휘]
genuine
진짜의, 진실된

outrageous 터무니없는

garner (정보·지지 등을) 얻다, 모으다

fake 가짜의

track 추적하다

distribute 배포하다

count 계산하다

ignore 무시하다

Writ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