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고1 11월 모의고사 영어 변형문제

대한민국 1% 영어강사, 찍신 이상엽 쌤이 제공하는 변형문제의 퀄리티는 평가원 수준 혹은 그 이상의 최고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2022 11월 고1 모의고사 변형문제 31번

[빈칸추론 → 제목]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To demonstrate how best to defeat the habit of delaying, Dan Ariely, a professor of psychology and behavioral economics, performed an experiment on students in three of his classes at MIT. He assigned all classes three reports over the course of the semester. The first class had to choose three due dates for themselves, up to and including the last day of class. The second had no deadlines—all three papers just had to be submitted by the last day of class. In his third class, he gave students three set deadlines over the course of the semester. At the end of the semester, he found that students with set deadlines received the best grades, the students with no deadlines had the worst, and those who could choose their own deadlines fell somewhere in the middle. Ariely concludes that restricting freedom—whether by the professor or by students who recognize their own tendencies to delay things—improves self-control and performance.

     Make the Deadline the Priority

     Motivate Yourself to Meet the Deadline

     The High Price of the Delaying of an Action

     Self-Imposed Restriction and Reward Systems

     The Problem of the Delaying of an Action and Self-Control

정답 및 해설

정답 ⑤
제목은 핵심어 찾기이다. 핵심어는 주제문에 나온다. 첫 문장에 핵심어 미루는 습관을 가장 잘 무너뜨리는 방법(how best to defeat the habit of delaying)이 언급되었다. 게다가 첫 문장에 과학자, 연구자와 같은 고유명사(Dan Ariely)가 언급되었고 실험을 수행했다(performed an experiment)는 것으로 보아 과학기사의 글이다. 과학기사의 글은 다음의 공식을 적용하면 제목, 주제, 빈칸추론 등의 유형문제를 쉽게 풀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과학기사, 실험에 관한 글의 경우 정답의 단서는 다음과 같다.
<
주어가 사람일 경우>
researchers/scientists suggest/show/find/argue/conclude that S+V
<주어가 사물일 경우>
research/study/findings suggest/show/find/argue/conclude that S+V

Dan Ariely 교수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실험의 결과는 우리가 원하는 대로 할 수 없는 이유는 미루는 습관과 자제력의 문제였다. 마지막 문장에 정답의 단서가 나왔다.
Ariely concludes that restricting freedom improves self-control and performance.
(Ariely
는 자유를 제한하는 것은 자기 통제와 성과를 향상시킨다고 결론짓는다.)
Dan Ariely 교수가 학생들에게 세 개의 정해진 마감일을 주었고 마감일이 정해진 학생들이 최고의 성적을 받았고 하므로 ③ 행동 지연의 높은 대가는 오답이다.

[선지 해석]

     마감일을 최우선으로 하라

     마감일을 맞추기 위해 스스로 동기를 부여하라

     행동 지연의 높은 대가

     자율적 제한 및 보상 제도

     행동 지연과 자제력의 문제

[해석]
미루는 습관을 가장 잘 무너뜨리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심리학 및 행동경제학 교수인 Dan Ariely MIT의 자신의 수업 중 세 개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그는 학기 과정 동안 모든 수업에 세 개의 보고서를 과제로 부여했다. 첫 번째 수업의 학생들은 종강일까지 포함해서 세 개의 마감일을 스스로 선택해야 했다. 두 번째는 마감일이 없었고, 세 개의 보고서 모두 종강일까지 제출되기만 하면 되었다. 그의 세 번째 수업에서, 그는 학기 과정 동안 학생들에게 세 개의 정해진 마감일을 주었다. 학기 말에, 그는 마감일이 정해진 학생들이 최고의 성적을 받았고, 마감일이 없는 학생들은 최하의 성적을 받았으며, 자신의 마감일을 선택할 수 있었던 학생들은 그 중간 어디쯤의 위치에 있었다는 것을 알아냈다. Ariely, 교수에 의해서든 혹은 일을 미루는 자신의 성향을 인식한 학생들에 의해서든, 자유를 제한하는 것은 자기 통제와 성과를 향상시킨다고 결론짓는다.

2022 11월 고1 모의고사 변형문제 32번 (1)

[빈칸추론 → 빈칸추론]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The best way in which innovation changes our lives is by enabling people to work for each other. The main theme of human history is that we become steadily more specialized in what we produce, and steadily more diversified in what we consume: we move away from unstable self-sufficiency to ___________________. By concentrating on serving other people’s needs for forty hours a week—which we call a job—you can spend the other seventy-two hours (not counting fifty-six hours in bed) relying on the services provided to you by other people. Innovation has made it possible to work for a fraction of a second in order to be able to afford to turn on an electric lamp for an hour, providing the quantity of light that would have required a whole day’s work if you had to make it yourself by collecting and refining sesame oil or lamb fat to burn in a simple lamp, as much of humanity did in the not so distant past.
*a fraction of a second: 아주 짧은 시간 **refine: 정제하다

     safer mutual interdependence

     comfortable economic independence

     a wider and more highly diversified society

     more dependence on resources for individuals

     more solid stability for economic self-sufficiency

정답 및 해설

정답 ①
[
해설]
사회에서 상호의존과 협력이 일상화될 때, 특히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 때문에 혁신이 증가한다. , 새로운 것을 만들기 위해 함께 일하는 것은 모두를 위한 혁신의 결과이다.

빈칸이 가운데에 나오면 빈칸은 부연설명문이다. 주제문의 일반적 진술을 빈칸에 구체적 진술로 말을 바꿔쓰기 한다. 문두 주제문에 혁신은 사람들이 서로를 위해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서로 간의 상호의존으로 말을 바꿔쓰기한 ①번이 적절하다.
빈칸 앞의
move away from A to B (A에서 B로 옮기다[이동하다]) 구문에서 unstable self-sufficiency (불안정한 자급자족)과 매칭을 이루는 것은 safer mutual interdependence (더 안정한 서로 간의 상호의존)이다.

[선지 해석]

     더 안전한 서로 간의 상호의존

     편안한 경제적 자립

     더 광범위하고 고도로 다양한 사회

     개인의 자원에 대한 의존도 증가

     경제적 자립을 위한 보다 견고한 안정성

[해석]
혁신이 우리의 삶을 바꾸는 최고의 방법은 사람들이 서로를 위해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인류 역사의 주요한 주제는 우리가 생산하는 것에서 점점 더 전문화되고 우리가 소비하는 것에서 꾸준히 더 다양화되는 것이다. , 우리는 불안정한 자급자족에서 더 안전한 서로 간의 상호의존으로 옮겨간다는 것이다. 일주일에 40시간 동안 사람들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 즉 우리가 직업이라고 부르는 것에 집중함으로써, 여러분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여러분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의지하여 나머지 72시간(잠자는 56시간은 계산에 넣지 않고)을 보낼 수 있다. 혁신은 전등을 한 시간 동안 켜는 여유를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해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일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고, 그것은 만약 여러분이 그리 멀지 않은 과거에 많은 인류가 했던 것처럼 단순한 등을 켜기 위해 참기름이나 양의 지방을 모으고 정제함으로써 그것을 스스로 만들어야 했다면 하루 종일의 노동을 필요로 했었을 빛의 양을 제공했다.

위 글의 제목은

Innovation Thrives Better When Shared (혁신은 공유할 때 더 잘 번성한다)

2022 11월 고1 모의고사 변형문제 32번 (2)

[빈칸추론 → 어법]

(A), (B), (C) 각 네모 안에서 어법에 맞는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best way (A) [in which / which] innovation changes our lives is by enabling people to work for each other. The main theme of human history is that we become steadily more specialized in what we produce, and steadily more diversified in what we consume: we move away from unstable self-sufficiency to safer mutual interdependence. By concentrating on serving other people’s needs for forty hours a week—which we call a job—you can spend the other seventy-two hours (B) [relying / relied] on the services provided to you by other people. Innovation has made it possible to work for a fraction of a second in order to be able to afford to turn on an electric lamp for an hour, providing the quantity of light that (C) [would require / would have required] a whole day’s work if you had to make it yourself by collecting and refining sesame oil or lamb fat to burn in a simple lamp, as much of humanity did in the not so distant past.
*a fraction of a second: 아주 짧은 시간 **refine: 정제하다

(A)(B)(C)
in whichrelyingwould require
in whichreliedwould have required
in whichrelyingwould have required
whichreliedwould have required
whichrelyingwould require
정답 및 해설

정답 ③
[
해설]
(A) 일반적으로 관계대명사 이하는 불완전 문장이 나온다. 그러나 관계대명사가 소유격 혹은 전치사의 목적격인 경우, 관계대명사 이하는 완전한 문장이 나온다. 관계대명사 이하 문장(innovation changes our lives)이 완전하므로 in which가 맞다.

(B) spend동사는 목적어+Ving(동명사), 또는 목적어+on+명사 형식을 사용하므로 relying이 맞다.
(C)
‘~했을 수도 있다사실이 아닐 수도 있는 추측의 의미로 쓰였기 때문에 would have p.p.가 맞다. if you had to 부분의 if절의 시제가 가정법 과거이므로 주절에도 가정법 과거인 would require를 고르면 오답에 속을 수 있다. 지문을 보면 that would have required a whole day’s work 관계사절이며 조건의 if절은 있지만 주절은 없다. 따라서 가정법 시제로 접근해서 풀이하면 오답에 속을 수 있다.

계속 업데이트 됩니다.

Writ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