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특강 유사문제는 평가원의 변형문제에 대한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EBS 지문과 비슷한 소재와 배경지식을 학습하기 때문에 평가원에서 변형문제를 어떻게 출제하더라도 지문에 대한 거부감 없이 빠르게 리딩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유사문제를 풀고 난 후 EBS 지문과 비교해 보시면 유사문제의 싱크로율을 체감하실 수 있습니다.
수능특강 영어 13강 1번은 준거 집단에서 개인의 성과와 자존감과의 관계에 관한 글이었다. 유사문제는 자신의 지위와 다른 사람의 지위를 비교할 때 불리하면 상대적 박탈감이 생길 수 있다는 글이다.
수능특강 영어 유사문제(13강 Exercise 1)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An unfavorable comparison of your own status with that of others can produce a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the belief that no matter how much you are getting in terms of recognition, status, money, and other rewards, it is less than you deserve. |
(A) No wonder, then, that when large groups of people experience relative deprivation, political unrest may follow.
(B) The concept of relative deprivation explains why people of lower socio-economic status sometimes display aggression toward people they hold responsible for their disadvantages.
(C) It is likely, for example, that resentment over U.S. prosperity and global influence plays a role in creating the hatred that leads some people to engage in terrorist attacks against the United States.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정답: ②
해설: 글의 순서 문제는 대개 주어진 글이 주제문이다. 주제문의 핵심어를 중심으로 글이 전개되므로 글의 연결에 단서를 제시하는 대명사, 정관사, 연결어 등을 체크하면서 해석한다.
자신의 지위와 다른 사람의 지위를 비교할 때 불리하면 상대적 박탈감이 발생 → (B) 상대적 박탈 개념과 상대적 박탈에 따른 행동 → (A) 상대적 박탈은 국가의 정치적 불안을 초래 → (C) 미국에 대한 테러와 증오는 상대적 박탈로 특정 국가에 대해 테러나 공격성을 보이는 일례.
[해석] 자신의 지위와 다른 사람의 지위를 비교할 때 불리하면 상대적 박탈감이 생길 수 있다. 즉, 인정, 지위, 돈 및 기타 보상 측면에서 아무리 많이 받고 있어도 받을 자격이 없다는 믿음이다. (B) 상대적 박탈의 개념은 왜 사회 경제적 지위가 낮은 사람들이 자신의 불이익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에 대해 공격성을 보이는 이유를 설명한다. (A)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상대적인 박탈을 경험할 때 정치적 불안이 뒤따를 수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C) 예를 들어, 미국의 번영과 세계적 영향력에 대한 분개는 일부 사람들이 미국에 대한 테러 공격에 가담하도록 만드는 증오를 일으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어휘] unfavorable 불리한, 호의적이 아닌 / deprivation 박탈 / in terms of ~면에서, ~에 관해서 / deserve …을 받을 만하다 / aggression 공격성, 공격 / hold somebody responsible for …에게 …에 대한 책임을 지우다 / disadvantage 불리한 점, 약점 / unrest (사회·정치적인) 불안 / resentment 분함, 억울함 / prosperity 번영, 번성 / play a role in ~에서 역할을 하다 / hatred 증오 / lead+목적어+to do 주어 때문에 목적어가 ~하게 되다 / engage in 관여[참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