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영어 변형문제 (3)
대한민국 1% 영어강사, 찍신 이상엽 쌤은 내신과 수능에 최적화된 실전문제를 제공합니다. 찍신쌤은 대구여고, 경신고, 대륜고, 정화여고, 경북고, 사대부고, 남산고, 청구고, 대구외고 등 대구지역 수험생들을 위해 내신 맞춤 문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업문의는 jasnkid@naver.com
2024 3월 고2 모의고사 변형문제 29번
[어법 → 문장 삽입]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Although this technique alone will not produce changes, when used alongside other behavior modification tactics and coping strategies, behavioral changes have proved effective for some people. |
For years, many psychologists have held strongly to the belief that the key to addressing negative health habits is to change behavior. This, more than values and attitudes, is the part of personality that is easiest to change. ( ① ) Ingestive habits such as smoking, drinking and various eating behaviors are the most common health concerns targeted for behavioral changes. ( ② ) Process-addiction behaviors (workaholism, shopaholism, and the like) fall into this category as well. ( ③ ) Mental imagery combined with power of suggestion was taken up as the premise of behavioral medicine to help people change negative health behaviors into positive ones. ( ④ ) What mental imagery does is reinforce a new desired behavior. ( ⑤ ) Repeated use of images reinforces the desired behavior more strongly over time.
* ingestive:
(음식) 섭취의 ** premise: 전제
정답 및 해설
정답 ④
제목: Transforming Negative Health Habits with Mental Imagery (마음 속 이미지를 활용하여 부정적인 건강 습관 바꾸기)
요약: 심리학자들은 부정적인 건강 행동의 효과적인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행동 수정 기법과 함께 마음 속 이미지를 활용하는 것을 옹호한다.
해설: 주어진 문장 삽입은 우선 주어진 문장을 읽지 않는다. 첫 문장부터 내려 읽는다. 리딩을 하면서 앞 문장과 뒷 문장의 연결이 어색하거나 자연스럽지 않은 문장이라고 판단되면 그 때 주어진 문장을 읽은 후, 연결이 어색한 부분에 넣었을 때 앞뒤 문장의 연결이 매끄럽게 연결되는지를 판단한다.
④ a new desired behavior(새로운 바람직한 행동)이 무엇을 지칭하는 지 앞 문장(③)에 단서가 없다. ③번 지문 다음에 ④번 글의 연결이 어색하므로 주어진 문장이 들어갈 곳은 ④번임을 추측할 수 있다. 주어진 문장의 this technique가 지칭하는 것은 Mental imagery combined with power of suggestion이다. 주어진 문장의 behavioral changes have proved effective for some people에서 behavioral changes는 본문에 언급된 smoking, drinking and various eating behaviors을 금연, 음주 감소, 식습관 개선 등의 긍정적인 변화를 다음 문장에 ‘a new desired behavior’로 표현했다.
[구문]
■ For years, many psychologists have held strongly to the belief {that the key to addressing negative health habits is to change behavior}.
– hold 동사가 ‘붙들고 있다’라는 뜻으로 쓰이면 자동사이며, 전치사 to 또는 by가 따른다.
– { } 안의 that절은 the belief를 보충 설명하는 동격절이다.
[해석]
수년 동안 많은 심리학자들은 부정적인 건강 습관을 해결하는 열쇠는 행동을 바꾸는 것이라는 믿음을 굳게 갖고 있었다. 이것은 가치관이나 태도보다, 가장 바꾸기 쉬운 성격의 한 부분이다. 흡연, 음주 및 다양한 섭식 행동과 같은 섭취 습관은 행동 변화를 목표로 하는 가장 일반적인 건강 문제이다. 과정 중독 행동(일 중독, 쇼핑 중독 등) 또한 이 범주에 속한다. 암시의 힘과 결합된 마음 속 이미지는 사람들이 부정적인 건강 행동을 긍정적인 것으로 바꾸는 데 도움이 되는 행동 의학의 전제로 받아들여졌다. 이 기술만으로는 변화를 만들어 내지는 않지만, 다른 행동 수정 기법 및 대응 전략과 함께 사용되면, 행동 변화가 일부 사람들에게는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마음 속 이미지가 하는 일은 새로운 바람직한 행동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미지의 반복적 사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바람직한 행동을 더욱 강력하게 강화한다.
29번 요약
Behavioral change through mental imagery aids health habit transformation.
(마음 속 이미지를 통한 행동 변화는 건강 습관 변화에 도움이 된다.)
2024 3월 고2 모의고사 변형문제 30번
[낱말의 쓰임 → 제목]
다음 글의 제목을 가장 적절한 것은?
Emotion socialization—learning from other people about emotions and how to deal with them—starts early in life and plays a foundational role for emotion regulation development. Although extrafamilial influences, such as peers or media, gain in importance during adolescence, parents remain the primary socialization agents. For example, their own responses to emotional situations serve as a role model for emotion regulation, increasing the likelihood that their children will show similar reactions in comparable situations. Parental practices at times when their children are faced with emotional challenges also impact emotion regulation development. Whereas direct soothing and directive guidance of what to do are beneficial for younger children, they may intrude on adolescents’ autonomy striving. In consequence, adolescents might pull away from, rather than turn toward, their parents in times of emotional crisis, unless parental practices are adjusted. More suitable in adolescence is indirect support of autonomous emotion regulation, such as through interest in, as well as awareness and nonjudgmental acceptance of, adolescents’ emotional experiences, and being available when the adolescent wants to talk.
* intrude
on: ~을 침해하다
① Emotion Socialization across Childhood and Adolescence
② The Role of Parental Emotion Regulation and Expression
③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 Adjustment
④ Parental Emotion Regulation and the Socialization of Emotion
⑤ Parental Role in Adolescent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ization
정답 및 해설
정답 ⑤
주제: importance of emotion socialization in adolescence (청소년기의 감정 사회화의 중요성)
해설: 부모의 초기 감정 사회화는 어린이의 감정 조절 발달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며, 청소년기에는 부모의 모델링과 적응 지원은 청소년 전반에 걸쳐 자율적 감정 조절을 촉진하는 데 중요하다. 부모가 아동기와 청소년기 전반에 걸쳐 주요 사회화 주체로 자녀의 감정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기술하므로 제목은 ‘⑤ 청소년의 감정 조절과 사회화에서 부모의 역할’이다.
[선지해석]
① 유년기와 청소년기의 감정 사회화
② 부모의 감정 조절과 표현의 역할
③ 부모의 심리통제와 청소년 적응
④ 부모의 감정 조절과 감정의 사회화
[해석]
감정 사회화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감정과 감정 처리 방법을 배우는 것인데 어릴 때부터 시작되며 감정 조절 발달에 기초적인 역할을 한다. 청소년기에는 또래나 미디어와 같은 가족 외의 영향이 중요해지지만 부모는 여전히 주요 사회화 주체이다. 예를 들어, 감정적 상황에 대한 부모 자신의 반응이 감정 조절의 롤모델이 되어 자녀가 비슷한 상황에서 비슷한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높아진다. 자녀가 정서적 어려움에 직면할 때 부모의 (습관적) 행동 또한 감정 조절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무엇을 해야 할지 직접적으로 달래고 지시적 안내가 어린 아이들에게는 유익하지만, 청소년의 자율성 추구를 방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부모의 행동이 조정되지 않는다면, 청소년은 정서적 위기 상황에서 부모에게 의지하기보다 오히려 부모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청소년기에 더 적합한 것은 청소년의 정서적 경험에 대한 인식과 무비판적 수용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관심, 그리고 청소년이 대화하고 싶을 때 곁에 있어 주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자율적 감정 조절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2024 3월 고2 모의고사 변형문제 31번
[빈칸추론 → 어법]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Dancers often push themselves to the limits of their physical capabilities. But that push is misguided if it is directed toward ① accomplishing something physically impossible. For instance, a tall dancer with long feet may wish to perform repetitive vertical jumps to fast music, pointing his feet ② while in the air and lowering his heels to the floor between jumps. That may be impossible ③ no matter how strong the dancer is. But a short-footed dancer may have no trouble! Another dancer may be struggling to complete a half-turn in the air. ④ Understanding the connection between a rapid turn rate and the alignment of the body close to the rotation axis tells her how to accomplish her turn successfully. In both of these cases, understanding and working within the constraints imposed by nature and described by physical laws ⑤ allow dancers to work efficiently, minimizing potential risk of injury.
정답 및 해설
정답 ⑤
해설: understanding and working within the constraints imposed by nature and described by physical laws allows ….
주어는 등위접속사로 연결된 명사구(=동명사구)이다. 주어가 하나의 행동과정이므로 단수 취급한다. 따라서 동사를 allows로 고쳐야 한다. 반대로 아래 예문처럼 등위접속사로 연결된 명사구가 하나의 연속된 행동이 아니라 개별적인 경우 복수 취급한다.
ex. Washing and ironing are part of my mother’s daily routine.
(빨래와 다리미질은 엄마의 일과 중 일부다.)
① 전치사의 목적어로 동명사 accomplishing는 적절하다.
② while in the air 처럼 접속사 뒤에 주어와 동사가 보이지 않으면 주어와 동사가 생략된 부사절 축약이다. while he is in the air에서 (he is)가 생략되었다.
③ no matter how strong the dancer is
양보부사절 no matter how 뒤는 완전한 문장이 나온다. no matter how+형용사/부사+주어+동사 구문에서 is 의 보어인 형용사 strong이 how 뒤로 이동했다.
④ 주어자리에 동명사 Understanding은 적절하다.
31번 제목: Optimizing Dance Performance through Understanding Physical Constraints (신체적 제약의 이해를 통한 댄스 퍼포먼스 최적화)
요약: 무용수는 부상 위험을 최소화하고 동작의 효율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신체적 제약을 이해해야 하며, 개인의 특성과 생체 역학에 따라 특정한 재주를 펼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대한민국 1% 영어강사, 찍신 이상엽 쌤은 내신과 수능에 최적화된 실전문제를 제공합니다. 찍신쌤은 대구여고, 경신고, 대륜고, 정화여고, 경북고, 사대부고, 남산고, 청구고, 대구외고 등 대구지역 수험생들을 위해 내신 맞춤 문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업문의는 jasnkid@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