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영어 변형문제 (4)
대한민국 1% 영어강사, 찍신 이상엽 쌤은 내신과 수능에 최적화된 실전문제를 제공합니다. 찍신쌤은 대구여고, 경신고, 대륜고, 정화여고, 경북고, 사대부고, 남산고, 청구고, 대구외고 등 대구지역 수험생들을 위해 내신 맞춤 문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업문의: 010-2818-6994
2024 3월 고2 모의고사 변형문제 32번
[빈칸추론 → 내용일치]
children’s film에 관한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We must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film production and consumption habits. The term “children’s film” implies ownership by children—their cinema—but films supposedly made for children have always been consumed by audiences of all ages, particularly in commercial cinemas. The considerable crossover in audience composition for children’s films can be shown by the fact that, in 2007, eleven Danish children’s and youth films attracted 59 per cent of theatrical admissions, and in 2014, German children’s films comprised seven out of the top twenty films at the national box office. This phenomenon corresponds with a broader, international embrace of what is seemingly children’s culture among audiences of diverse ages. The old prejudice that children’s film is some other realm, separate from (and forever subordinate to) a more legitimate cinema for adults is not supported by the realities of consumption: children’s film is at the heart of contemporary popular culture.
* subordinate: 하위의
① Children’s films are not solely consumed by children.
② The popularity of children’s films extends beyond just child viewership.
③ There is a notable trend of children’s films enjoying success in commercial cinemas.
④ Children’s films are superior to adult films and are supported by various age groups.
⑤ Children’s films have a broader appeal and cultural significance than previously acknowledged.
정답 및 해설
정답 ④
제목: The All-Ages Appeal: Children’s Films at the Heart of Popular Culture (전연령층의 매력: 대중문화의 중심에 있는 어린이 영화)
요약: 어린이 영화는 표면적으로 어린이를 위해 제작된 영화이지만 사실 다양한 연령대에 걸쳐 소비되고 있다. 역사적 편견에도 불구하고 어린이 영화는 별도의 영역으로 분류되기보다는 현대 대중 문화의 중심에 있다.
해설: 어린이 영화가 성인 영화의 하위라는 편견, 즉 성인 영화보다 열등하다는 인식은 다양한 연령층에 걸쳐 어린이 영화가 널리 소비되고 인기를 끌면서 반박되고 있다. 그러나 ④ ‘아동영화가 성인영화에 비해 우수하다’는 표현은 본문에서 언급되지 않았다.
[선지해석]
① 어린이 영화는 어린이들만 소비하는 것이 아니다.
② 어린이 영화의 인기는 단순한 어린이의 시청률을 넘어 확장된다.
③ 어린이 영화가 상업영화에서 성공을 거두는 주목할만한 추세가 있다.
④ 어린이 영화는 성인영화보다 우수하며 다양한 연령층에서 지지를 받고 있다.
⑤ 어린이 영화는 이전에 인정된 것보다 더 폭넓은 매력과 문화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2024 3월 고2 모의고사 변형문제 33번
[빈칸추론 → 어법]
다음 (A), (B), (C)의 [ ]에 들어갈 어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Beethoven’s drive to create something novel is a reflection of his state of curiosity. Our brains experience a sense of reward (A) [where / when] we create something new in the process of exploring something uncertain, such as a musical phrase that we’ve never played or heard before. When our curiosity leads to something novel, the resulting reward brings us a sense of pleasure. A number of investigators have modeled (B) [that / how] curiosity influences musical composition. In the case of Beethoven, computer modeling focused on the thirty-two piano sonatas written after age thirteen revealed (C) [that / what] the musical patterns found in all of Beethoven’s music decreased in later sonatas, while novel patterns, including patterns that were unique to a particular sonata, increased. In other words, Beethoven’s music became less predictable over time as his curiosity drove the exploration of new musical ideas. Curiosity is a powerful driver of human creativity.
*
sonata: 악곡의 한 형식
(A) (B) (C)
① where………. that ………. that
② where ……… how ……… what
③ when ………. that ………. what
④ when ………. how ……… that
⑤ when ………. that ………..what
정답 및 해설
정답 ④
[해설]
(A) when
where는 물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반면 when은 특정 시점이나 조건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something new in the process of 로 보아 맥락상 창조 행위가 일어나는 과정이나 순간을 강조하므로 when이 맞다.
(B) how
의문사 how와 접속사 that 둘 다 완전한 문장이 나오며 명사절을 이끈다. that절은 ‘확실한 정보’를 나타내므로 맥락상 쓸 수 없다. 많은 연구자들이 호기심이 음악 작곡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모델을 만들었다는 것은 불확실한 정보에 기반한 것이므로 that은 어법상 틀린 표현이다.
(C) that
동사 revealed의 목적어로 명사절이 나왔다. 접속사 that과 관계대명사 what 둘 다 명사절을 이끈다. 목적어가 완전한 문장이므로 접속사 that이 맞다.
33번 요약: 베토벤의 진화하는 음악 작곡, 특히 피아노 소나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예측 가능한 패턴이 감소하고 점점 더 새로운 음악패턴을 보여주었다. 이는 인간 창의성의 강력한 원동력인 그의 호기심의 영향을 반영한다.
제목: Beethoven’s Curiosity: Driving Forces in Musical Creativity (베토벤의 호기심: 음악적 창의성의 원동력)
주제: importance of curiosity in Beethoven’s musical creativity (베토벤의 음악적 창의성에서 호기심의 중요성)
요약문
Curiosity fuels Beethoven’s creativity, shaping evolving musical patterns.
(호기심은 베토벤의 창의성을 촉진하고 진화하는 음악 패턴을 형성한다.)
대한민국 1% 영어강사, 찍신 이상엽 쌤은 내신과 수능에 최적화된 실전문제를 제공합니다. 찍신쌤은 대구여고, 경신고, 대륜고, 정화여고, 경북고, 사대부고, 남산고, 청구고, 대구외고 등 대구지역 수험생들을 위해 내신 맞춤 문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업문의: 010-2818-6994
2024 3월 고2 모의고사 변형문제 34번 (1)
[빈칸추론 → 빈칸추론]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Technologists are always on the lookout for quantifiable metrics. Measurable inputs to a model are their lifeblood, and like a social scientist, a technologist needs to identify concrete measures, or “proxies,” for assessing progress. This need for quantifiable proxies produces a bias toward measuring things that are easy to quantify. But simple metrics _______________________ we really care about, which may require complicated metrics or be extremely difficult, or perhaps impossible, to reduce to any measure. And when we have imperfect or bad proxies, we can easily fall under the illusion that we are solving for a good end without actually making genuine progress toward a worthy solution. The problem of proxies results in technologists frequently substituting what is measurable for what is meaningful. As the saying goes, “Not everything that counts can be counted, and not everything that can be counted counts.”
*
metric: 측정 기준
① may not capture simpler goals
② often overlook easy measurable proxies
③ often reveal complexities and nuances
④ can take us further away from the important goals
⑤ though convenient often overlook concrete measures
정답 및 해설
정답 ④
제목: The Pitfalls of Relying Solely on Quantifiable Proxies (정량화 가능한 프록시에만 의존하는 것의 함정)
요약: 쉽게 정량화할 수 있는 지표에 의존하는 접근 방식은 측정된 것과 실제로 의미 있는 것 사이의 단절로 이어질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가치 있는 해결책을 향한 진정한 진전을 방해할 수 있다.
해설: 단순한 지표는 정량화하기 쉽지만 원하는 결과의 미묘한 차이와 복잡성을 포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단순한 측정 기준에만 초점을 맞추면 기술자가 달성하려는 중요한 목표에서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④ 중요한 목표에서 더 멀어질 수 있다’라는 표현은 진행을 위해 단순한 측정 기준이나 프록시에만 의존하면 중요한 목표에서 벗어나 의미 있는 해결책을 향한 진정한 진행을 방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답분석]
① may not capture simpler goals → may not capture complexities 로 고쳐야 답이 될 수 있음
② often overlook easy measurable proxies → often overlook complexities or nuances 로 고쳐야 답이 될 수 있음
③ often reveal complexities and nuances → often mask complexities and nuances 로 고쳐야 답이 될 수 있음
⑤ though convenient often overlook concrete measures → though convenient often overlook factors 로 고쳐야 답이 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