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형식 동사는 불완전 타동사라서 목적어를 설명해주는 목적격 보어를 필요로 한다. 목적격 보어는 to부정사가 원칙이며 동사에 따라 명사, 형용사, 분사가 목적격 보어 자리에 올 수 있다.
1) to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동사
S | V | O | OC |
He | allowed advised asked wanted expected enabled encouraged required forced compelled urged | her | to review the work in progress. |
그렇다면 목적어 뒤에 to부정사가 따르면 무조건 5형식일까? 그렇지는 않다. 아래 예문을 보자.
Scientists use microscopes to study the cells of living organism.
→ → 목적어(microscopes)와 목적보어(to study)가 S2+V2 관계가 아니므로 5형식이 아니다.
(과학자들은 살아 있는 유기체의 세포를 연구하기 위해 현미경을 이용한다.)
목적어 뒤에 to부정사가 따르는 문장이 5형식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방법은 목적어와 부정사의 상관관계가 능동적인 관계가 되는 지, 즉 목적격 보어가 부정사일 때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는 ‘S2(의미상 주어) + V2’ 관계가 성립이 되어야 한다. 예문은 이러한 관계가 성립이 되지 않고 있으므로 부정사 이하는 문장에서 부속성분으로 동사를 수식하는 수식어구에 불과하다.
2) 목적격 보어 자리에 명사, 형용사, 분사가 올 때
앞의 예문처럼 보어자리에 명사, 형용사, 분사가 위치한 경우도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관계가 ‘S2(의미상 주어) + V2’ 관계가 성립이 되는 지 확인해본다. 부정사가 보이지 않을 뿐 실제 명사, 형용사, 분사 앞에 (to be)가 생략된 것이다. 특히 분사의 경우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관계가 능동적이면 현재분사를 수동적이면 과거분사를 쓴다.
I found the book (to be) interesting.
(나는 그 책이 재미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읽어 보니 재미있었다는 것을 의미.)
cf. I found an interesting book. [3형식]
(나는 흥미 있는 책을 발견했다.)
We believe him (to be) innocent.
(우리는 그가 결백하다고 믿고 있다.)
Everyone considers Shakespeare (to be) a great poet.
(모두 셰익스피어를 위대한 시인이라 여긴다.)
→ 목적격 보어가 명사일 경우 목적어와 동격이 된다.
Heavy snow had kept the gates (to be) closed for a week.
(폭설로 한 주 동안 정문이 폐쇄된 채 유지되었다.)
→ 무생물 주어는 부사적 해석을 한다.
I found him (to be) lying unconscious on the floor.
(그가 의식을 잃은 채 바닥에 누워 있는 것을 발견했다.)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He promised to keep me _______ of how things were progressing.
(A) to inform (B) on informing
(C) informed (D) informing
정답 (C)
[해설] keep 동사가 5형식일 때와 inform동사의 형식 두 가지를 조합한 문제이다. keep동사의 목적보어는 형용사 또는 분사이며, inform 동사는 ~ A of B 또는 ~ A B(that절)이다. 빈칸에 들어갈 목적보어는 분사인 (C), (D) 중 하나이다. 현재분사 informing은 능동이므로 informing A of B 형식이 되어야 한다. 빈칸 다음에 목적어(A) 없이 전치사 of가 나오므로 수동태인 과거분사 informed가 적절하다.
[해석] 그는 우리에게 일이 어떻게 진행되어가는 지 계속해서 알려주기로 약속했다.